1. 타임오프
유급 근로시간 면제제도를 뜻합니다.
노조원의 노무 관리적 성격 활동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해 임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따라 노조 전임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대원칙이지만, 노사 공통의 이해가 걸린 활동은 근무시간으로 인정해 임금을 지급합니다.
노조 활동 가운데 단체교섭 활동, 고충처리 활동, 산업 안전보건에 관한 활동 등이 해당합니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 노조 간부가 노사 협의 등 노사 공동의 업무에 한해 예외적으로 노조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편의를 봐주던 제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 말 노사정 합의로 도입돼 2010년 7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되었습니다.
최근 고용노동부가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타임오프 관련 부당노동행위 기획 근로감독을 시행한 결과, 대규모 윙반 사례가 적발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2. NDF(역외차액 결제선물환) 시장
외화를 주고받지 않고 만기 시점 환율 차이만 정산하는 외환 파생상품 시장을 말합니다.
NDF 시장에서는 만기에 현물을 인도하거나 계약 원금을 상호 교환하지 않고 계약한 선물환율과 지정환율 사이의 차이만을 지정통화로 정산합니다.
지정환율은 당사자 간 약정에 따라 정해지며 원·달러 NDF의 경우 만기일 전일의 매매 기준율로 결정합니다.
싱가포르, 홍콩, 뉴욕 등의 역외 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NDF 시장은 보통 싱가포르와 홍콩에 개설된 시장을 뜻합니다.
이 두 시장에서는 원화, 대만달러, 중국 위안화, 필리핀 페소, 인도 루피 등 다양한 통화가 거래되는데, 이 중 한국의 원화 거래가 가장 활발합니다.
특히 2000년 이후 원·달러 환율의 변동 폭이 커지면서 역외 선물환 거래가 원·달러 환율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급부상했습니다.
3. 파인 튜닝
사전 학습된 인공지능(AI)의 모델을 특정 데이터 세트로 추가 학습시켜 특정 장업에 맞게 조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기술은 모델이 기존의 일반적인 지식을 특정 도메인이나 작업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최근 금융 IT 분야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 기관은 법률 문서 분석, 고객 서비스 챗봇, 사기 탐지, 리스크 관리·투자분석에 파인 튜닝된 AI 모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모델은 이러한 업무에서 특수한 용어와 패턴을 학습해 더 정확한 분석과 예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사전 학습된 모델을 특정 도메인의 데이터 세트로 추가 학습시키면 해당 도메인의 특수한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모델 성능을 특정 도메인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는 점이 장점입니다.
금융 IT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로, 더 나은 서비스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출처 - 매경이코노미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경제용어 (6) (1) | 2025.05.27 |
---|---|
2025 경제용어 (5) (0) | 2025.05.03 |
2025 경제용어 (4) (0) | 2025.04.23 |
2025 경제용어 (3) (0) | 2025.04.01 |
2025 경제용어 (2) (1)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