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30 2025 경제용어 (5) 1. mRNA(메신저 리보핵산) DNA에 저장된 유전 정보를 복사해 세포 안 단백질 공장인 리보솜에 전달하는 물질. 리보솜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을 만든다. mRNA는 인체를 이루는 단백질을 만들기 위한 임시 설계도이자 지시서 역할을 한다. mRNA 백신은 이 원리를 이용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만드는 mRNA를 체내에 주입해 항체 생성을 유도한다. 코로나 백신이 이 원리를 이용한다. 최근 mRNA 백신의 체내 유입 작동과 저해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 연구진이 주인공이다. 유전자 편집(유전자 가위) 기술로 2만 개에 달하는 유전자를 테스트해 mRNA 백신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데 관여하는 물질과 mRNA 백신의 기능을 저해하는 단백.. 2025. 5. 3. 2025 경제용어 (4) 1. 무어의 법칙 반도체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집적도)이 18~24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인텔 창업자 고든 무어가 1965년 처음 제시해 '무어의 법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터넷은 적은 노력으로도 커다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메트칼프의 법칙, '조직은 계속적으로 거래 비용이 적게 드는 쪽으로 변화한다'는 가치사슬을 지배하는 법칙과 함께 인터넷 경제 3원칙 중 하나로 꼽힌다. 디지털 혁명 이후 1990년대 말 미국의 컴퓨터 관련 기업들이 정보기술(IT)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고, 무어의 법칙에 따라 개발 전략을 세웠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반도체 미세공정의 한계로 인해 무어의 법칙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챗 GTP 개발사 오픈 AI의 샘 올트먼 최.. 2025. 4. 23. 2025 경제용어 (3) 1. 고객생애가치 (LTV·Lifetime Value) 고객이 특정 앱이나 제품, 서비스 등을 사용하는 동안 창출된 매출로, 고객이 기업에 이바지하는 재무적 가치를 측정하는 지표를 의미한다. CLV(Customer Lifetime Value)또는 CLTV라고도 일컫는다. LTV는 앱의 성공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이를 통해 총 예상 수익을 결정하고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측정하기도 한다. LTV는 고객당 평균 매출을 파악해 마케팅 대상을 정교하게 선택할 수 있다. LTV가 높은 고객을 공략해 구매 반복을 유도하고 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인앱 구매나 인앱 광고, 앱 구독 등 수입원의 흐름을 파악해 이를 최적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특히 게임이나 쇼핑업계에서 수익화를 위한 LTV 산.. 2025. 4. 1. 2025 경제용어 (2) 1. 내향성 경제(Introvert Economy)내향적인 성향을 가진 개인이 주축이 되는 경제 활동이나 소비 트렌드를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외향적인 소비자와 대면 활동이 중심이 된 과거 경제와 상반되는 개념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발달과 비대면 서비스 확산으로 내향적인 소비자의 경제적 역할이 주목받는다. 이들은 혼자서도 몰입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고, 온라인 교육과 재택근무등의 활동에서 강점을 갖는다. 특히 소셜미디어(SNS)를 활용한 비대면 소통과 소규모 커뮤니티에서 중심이 될 수 있다. 개인 맞춤형 서비스도 진화하는 중이다. 예를 들어 명상 앱이나 개인 창작물 판매 플랫폼, 침묵 카페 등이 내향적인 소비자 선호를 반영한 서비스다. 이처럼 최근 다수 기업이 개인에 초점을 맞춘 전략으로 새로.. 2025. 3. 2. 이전 1 2 3 4 ··· 8 다음